팔고에서 판매되고 있는 집기들을 보다가 몇자 적어봅니다.
모든일이 그렇지만 일을 어디서 처음 배웠는지가 중요합니다.
제가 볼때는 위생검사 나오면 거의 90% 이상은 다 걸릴겁니다.
저도 3개월마다 유통기한을 체크해도
우리가 끓여먹을려고 산 라면도 유통기간이 지난적이 있습니다.
전 불운인지 호텔에서 주방일을 시작해서 막내때 하던게 냉장고 청소를 비롯한 모든청소만 했습니다.
양식당 안의 25개가 되는 냉장고를 3일로 나눟어서 매일 청소 했습니다.
쉽게 냉장고에 물이 생기면 혼났습니다.재료야 일정기간이 지나면 무조건 폐기했죠.
처음에 조식부페에 나가는 샌드위치를 아침마다 몇개가 남던 다 쓰레기통 버리는것을 보고
얼마나 아까웠는지 전날 밤에 열심히 만든거였거든요. 빵은 모두 하루지나면 폐기였습니다.
호텔음식 비싼데는 이런이유도 있습니다.
요식업 청소, 간단히 정리하겠습니다.
1.주방기물은 스텐레스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영어로 스텐은 녹입니다.즉 녹이 안생기는 쇠가 스텐입니다.ㅎㅎㅎ
주방에 스텐부위에 알미늄 호일이 씌워져 있다 이런 주방은 우선 청소를 안한다고
광고하는 업장입니다.즉 스텐부위는 청소가 용이한 제품입니다.
어디는 호일을 깔고 아래는 장판이나 박스를 깔아 사용하는 업장은
쉽게 청소랑은 거리가 먼업장입니다.다들 핑계를 대실테지만 결국 한번 닦는게 더 깨끗합니다.
결국 호일과 박스도 웬만해서 교체하지 않습니다.매일 교체한다면 인정하겠습니다.
2.후드는 최소 일주일에 한번은 청소해야 합니다.
그리고 후드를 제작하실때는 꼭 스텐으로 제작하세요.
정말 얼마차이 안나지만 청소가하기가 쉽습니다.
그리고 이게 청소시기를 지나치면 더욱더 청소가 힘들어지고 티가 안납니다.
3.간텍기 청소
그냥 물로 청소해도 됩니다.특히 따뜻한물로요.
저희는 아예 온수쪽에 주방을 다 청소할 길이만큼의 호스가 연결되 있습니다.
따뜻한물 뿌리시고 오븐크리너나 기름때제거 세제로 닦으시면 됩니다.
음식물이 튀는 노즐쪽도 잘 닦아주시면 좋고요.
4.냉장고 청소
전 아예 간냉식 냉장고만 삽니다. 모르시는 분들도 꽤 있습니다.
쉽게 집 냉장고는 다 간냉입니다. 안에 성에가 끼지 않죠.
쉽게 브랜드로는 흔한 우성.유니크 제품들이 직냉제품들입니다.저렴합니다.
같은회사에서 고급라인으로 간냉식 냉장고가 나옵니다.20~40프로 정도 더 비쌉니다.
또는 자주여는 냉장고는 간냉.보관만 하고 하루에 한두번 열까말까다 그럼 직냉도 괜찮습니다.
좋은 냉장고는 오래쓸수 있으며 AS를 잘해주면 사용공간이 넓습니다.
같은 1200싸이즈의 냉장고도 업체에 따라 내부공간이 30%가량 차이가 납니다.
냉동고나 냉장고나 자주열면 온도차로 내부에 성에와 얼음이 생깁니다.
이럼 효율이 떨어집니다.
그나마 나은 냉장고들은 제상 기능으로 이 얼음과 성에를 없애는 기능이 있습니다.
쉽게 직냉을 사더라고 회전다이얼만 덩그러니 있는거 말고
그나마 제상기능이 있는걸 사세요.
냉장고 청소는 간단합니다. 전원끄고 세제로 닦고 물기제거하면 됩니다.
그리고 고무패킹도 꼭 같이 딱아줘야 합니다.
온도차로 곰팡이가 제일 많이 생기는 부분이죠.
칫솔같은 솔로 락스까지 사용한다면 완벽히 청소가 가능합니다.
쉽게 여름에 냉장고 아래서 물이 나오면 그나마 좋은냉장고입니다.
제상되는겁니다.
5.바닥청소
치킨집같은 기름을 사용하는 업체는 매일 청소가 메뉴얼입니다.
매일 청소하는게 가끔하는거보다 습관이 어렵지만 몇배 관리가 쉽습니다.
그냥 물뿌리고 걸레에 세제뿌려서 거품내서 쓱쓱 닦으시고
물 뿌리시면 솔직히 5분도 안걸립니다.
저도 혼자 주방에서 일합니다.
청소부터 재료준비부터 요리까지 다 하는데 너무 힘듭니다.
요즘같은때는 주방온도가 70도까지 오르네요.
그나마 더위를 잘 안타는게 다행이네요.
그래도 땀으로 온몸이 젖어도
마지막까지 청소다하고 주방볼때 뿌듯함을 느낍니다.
누가 와서 봐도 자신있구요.
코로나가 지나면
100프로 외식산업의 엄청난 붐이 일어날수 밖에 없습니다.
지금은 위생검사도 신고아니면 나오지도 않습니다.
그러나 분명 요식업 호황일때 문제가 생길겁니다.
잘 준비하시면 몸에 익히시면 더더욱 대박나실겁니다.
'초보창업자가 준비해야 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식업 배달대행 알아보실때 소소한팁 (0) | 2023.06.28 |
---|---|
요식업 주방용품에 대해서 (냉장고편) (0) | 2023.06.28 |
저는 배달 대행 이렇게 대합니다 (요식업 창업 처음이라면) (0) | 2023.06.28 |
배달의 민족 쉽게 이해하기 (울트라콜 깃발) (0) | 2023.06.27 |
예비 사장님들을 위한 사업자등록증 발급까지 체크리스트 (0) | 2023.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