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후반 대기업에 입사해서 열심히 일하다가
부장님 월급명세서를 보고 개인사업을 하고자 마음먹고 요식업으로 뛰어들었습니다.
그리고 레스토랑에서 요리사로 일하다가 모은 돈으로 식당을 운영했습니다.
월 매출 1억 중대형 프차도 운영해봤고, 경험 살려서 개인 브랜드를 오픈했습니다.
그렇게 영업일 50일이 지났습니다.
프렌차이즈가 아니라 개인 브랜드다보니
조용할때가 많아 아프니까 사장이다 카페에 자주 들르게 되었네요.
알고있는 지식이나 노하우를 최대한 공유하려고 댓글도 열심히 달았어요.
그러다가 느낀 점들을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절대 개인 생각이니 이 글에 반대하신다면 사장님 말이 다 맞습니다.
1. 1인포장, 배달은 이제 그만.....
홀 테이블 최소 3개는 들고가시길 바라고, 안 되면 그냥 남의 가게에서 일하시는게 낫습니다.
전 배달 70, 홀 30이라 마진이 좋아요. 배달음식의 장점은 홀에 서빙하는순간 마진율이 50%이상 된다는 점입니다.
30평짜리 샵인샵 세팅해서 낮9~밤9, 밤9~낮9, 주간11시~밤11시 3명 이렇게 구해서
샵인샵4개이상 24시간 풀오토 돌릴꺼 아니면 그냥 남의가게에서 일하세요.
사장님이랑 같이하는데말고 풀오토매장.
월급 260이상 들고가십니다.
2. 동선을 모르시겠으면, 남의 가게에서 먼저 일 좀 하시고.....
창업의 꿈을 꾸고, 인테리어비0 가맹비0 이런데 현혹대서 자체 인테리어하고 관절 잃으시면 안되요 ㅠㅠ
동선이 제일 중요합니다. 이건 해보지않으면 모릅니다. 6개월, 1년 보지말고 길게 보셔야 합니다.
경험이 중요합니다.
3. 맛이 중요합니다.
점바이점 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같은 프랜차이즈라도 맛이 천지차이입니다.
전에 1억벌때 2km 이내에 같은 브랜드 2개 있었는데 매출 2배 차이났습니다. 배달팁이 더 쌌던것도 아니고,
같은 브랜드가 있는 배달팁 4천원인 지역에서도 주문이 하루에 5개 이상씩 들어왔습니다.
조리스킬과 매커니즘을 익히셔야합니다.
왜 주문이 안들어올까? 하면서 핸드폰 만지시면 안되요... 백종원 대용량 조리 유튜브라도 보셔야합니다.
안될 것 같으면 음식장사 하시면 안되요 ㅠㅠ
4. 원가, 임대료, 공과금, 부가세, 소득세, 보험, 배달대행비, 인건비 기타 등등등
생각할게 수천가지입니다... 마진율, 원가율, 이런거 묻지마시고, 각 항목별 퍼센테이지가 대충 있습니다.
계산할 수 있어야 합니다. 여기 아싸카페에 능력자분들이 올려놓은게 많으니 다운만 받아놓지말고
함수들 잘 보고 공부하셔야 합니다...
새는 돈이 장난이 아닙니다...
5. 마케팅
많이 들어보셨을거예요. 깃발, 파워링크, 우리가게클릭, 파워블로그
다 한번씩 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물론 개업 후 오는 수십통의 광고회사를 통해서가 아닌 스스로 하셔도 됩니다.
무조건 하셔요.
깃발은 2주에 한번씩 2주동안 3배 넘지않는건 계속 옮기면서 기본배달팁 구역 4개만 운영하시면 충분하시다고 봅니다.
우리가게클릭은 목~토 3일씩 활성화 해가며 2달정도만 운영하시면 매출이 오르시는거 보실수도!!
개인 브랜드 매장 50일 운영해놓고 거창하게도 썼네요 ;;;;;;
우리 요식업사장님들 모두 화이팅입니다!!!
프차는 10일만에 리뷰 100개 달성했던 것 같은데
전 50일동안 200개가 안되네요 ㅋㅋㅋㅋㅋ
![](https://blog.kakaocdn.net/dn/bnZ3Zm/btsmtOSJpAI/FWkkOkKgUl1N3E8jKuabcK/img.png)
모두 화이팅입니다!!
'요식업 창업의 현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권 안좋은 곳에서 한달만에 맛집 등극 (0) | 2023.07.09 |
---|---|
초밥집 배달 관련 꿀팁 공유해요 (요식업 창업) (0) | 2023.07.09 |
대학가에 부는 찬바람 무인점포 창업의 확장 (0) | 2023.07.05 |
자영업 사장님이 보는 폐업을 앞당기는 음식점 유형 (0) | 2023.07.03 |
요식업 장사가 잘 안 될 때 하수와 고수의 차이 (0) | 2023.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