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초보자들을 위해 쓰여진 글입니다.
이 글은 날것으로 쓰기때문에 읽기에 불편할 수도있습니다.
판매에대해서 가치를 두지 않는 사람 또는 열심히 하지 않을사람은 읽지마시길 권합니다.
시도도 해볼 생각없이 편협한 시각으로 근거 없는 비난만 하실분은 뒤로가기 해주시길 정중하게 부탁합니다.
안녕하세요 디렉터 문입니다.
금리도 오르고 모두가 힘든시기라고 생각해요. 하지만 동트기전 새벽이 가장 어둡다고하죠.
분명 좋은생각만하고 앞으로 전진하시다보면 좋은일들만 가득하리라고 생각합니다.
본문으로 들어가기 앞서
저는 분명히 말씀드리지만 본질에 대해서 말씀드릴거고
충분히 제글로 따라하기만 하시면 매출을 올릴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마케팅으로 업체에 1000만원씩 쓰시는 분도 봤습니다.
저는 약을 처방하지 않습니다. 약을 만드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사장님의 1000만원을 아끼는 방법이기 때문이죠.
요식업이 아니더라도 제글은 판매에 있어 이름만 말하면 유명하신 선배님들께서 다 사용하셨던 방법입니다.
제 글을 읽으시면서 약을 만드는 방법을 꼭 배우시길 바랍니다.
하나의 이치(理致)로써 모든 것을 꿰뚫는다.
-공자
배우고 익히시고 본인것으로 만드신다면 모든 판매를 하실때 도움이 되실겁니다.
구독하시고 빠르게 제 글을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남들이 다알아버리면 손해잖아요.
매출 올리신분은 꼭 댓글이라도 써주세요. 많은 힘이됩니다.
매출을 올리기위해서는 무엇보다 중요한것이 손님을 잡야하는건데요.
오늘 말씀드릴것은 광고를 통해 유입된 고객을 어떻게 주문까지 이어지게 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에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사장님은 음식을 주문 하는 입장이 되었을때
어디에서 주문을 하시나요?
주문을 하실때 '이집이 괜찮나' '저집이 괜찮나' 고르고 계시진 않나요??
수 많은 가게속에서 수많은 판단을하고 계실거에요.
저도 수많은 판단속에서 실패를 줄이고자 비교하고 다닐거에요.
사장님들은 배민광고에 얼마나 투자하고 계신가요?
아마 적게는 8만원 많게는 300만원도 넘게 한달에 투자하신다고 생각합니다.
질문드릴게요.
광고를 왜하시나요?
답은
우리가게 매출을 올리기 위해서 광고를 하고 계신거에요.
여기서 문제는 광고를해서
클릭은 많이 하는데 사먹지를 않으면 매출은 오르지가 않습니다. 광고료만 녹고있는거죠.
우리는 배민 후원자가 아닙니다.
제가 말씀드릴것은 클릭을 해서 매출을 올리는 방법입니다.
쉽게말해 구매전환율을 높이는 방법이죠
구매전환율을 높일려면
광고를 했고 가게 클릭까지 했습니다.
그러면 클릭한 고객들이 우리가게에 어떻게 구매를 더많이할까 라는 질문을 하셔야합니다.
구매전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배달의민족 상세페이지에 설득이란 요소가 들어가야합니다.
설득의 대가 아리스토텔레스는 사람을 설득하는 방법이 3가지라고 합니다.
로고스 : 얼마나 논리적인가?
에토스 : 어떤 사람이 말하는것인가?
파토스 : 상대방의 감정을 알아줬는가?
위 3가지만 잘 지킨다면 사람을 설득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배민다운 물음으로 바꿔 보겠습니다.
로고스 : 납득할만한 가격인가 ?
에토스 : 평점은 좋은가? 리뷰들이 많이 달려있나?
파토스 : 상대방이 먹고싶을만한 요리인가?
위 질문의 물음에 답하신다면 매출은 반드시 상승합니다.
납득할만한 가격이며,
앞전 제가 설명드렸던 글로 평점이 좋아지고 리뷰도 달렸습니다(에토스)
그렇다면 상대방이 먹고싶은 요리인지(파토스)를 상세페이지에 담아내야합니다.
실제 예시를 보여드릴게요.
![](https://blog.kakaocdn.net/dn/oaK5m/btsoCF5FGBk/79sM0jWzDEd6kjPn5BLRF1/img.jpg)
비포
![](https://blog.kakaocdn.net/dn/VlAqr/btsozTpzsQu/1h7hFtHaF3Y3MwHYxXyXOk/img.jpg)
에프터
당신은 고객입니다.
집밥이 먹고 싶어요
어떤 집에서 먹어보고싶을까요?
답은 2번째겠죠.
비포에는 고객들이 공감하고 궁금해할만한 질문, 다른가게와의 차별화된 재구매율을 언급해서 적어놨습니다.
상세페이지를 바꾸고 매출은 5배 올랐습니다.
(단, 저기에 거짓된것은 일도없어야합니다. 실제로 재구매율이 높아서 적은 문구입니다.)
중요한것은 상세페이지 내용이 거짓을 말하면 안됩니다.
(진실된 마음으로 고객에게 맛있는음식을 먹이고 싶다는 마음의 글이 들어가야합니다.)
비포의 내용처럼 바꾸기위해
저에게 던진 3가지 질문이있습니다.
1. 고객들이 원하는말이 적혀져 있으신가?
2. 고객들이 무엇을 궁금해하고
어떤 말들이 적혀있어야 구매를 할까?
3. 고객이 우리매장에서 먹어야하는 이유??
위 3가지 질문으로 탄생하게된 비포 상세페이지입니다.
사장님은 위3가지 질문으로 지금 상세페이지를 수정하시는것을 생각을 해보셔야합니다.
추가로 어떤분들이 사장님의 가게의 음식을 좋아했는지
그 고객을 그려놓고 수정을 해보세요.
그리고
만약 사장님의 매장이 양식이라고 해본다면 양식 카테고리의 비슷한 업종과 사장님의 가게를 비교해서
고객들에게 차별점을 제시를 해야합니다.
구체적으로 모르시겠나요?
괜찮습니다. 저와함께 앞으로 배워가시면 됩니다.
이해를 돕기위한 글들을 쓰겠습니다.
또 한가지 꿀팁 드립니다.
저는 배민 "사장님 한마디"란에 가게의 믿음과 신뢰를 주기위해 직접 일하시는분들 사진을 찍어서 올렸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VchNj/btsoxasCPmE/BPk67efk1bHOW6O8QKqUQ1/img.jpg)
꿀팁
처음 보는 고객들의 입장에서 신뢰감(에토스)이 쌓일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해서 저렇게 올렸습니다.
지금 한번 생각해보세요 어떻게하면 우리 매장의 신뢰감이 올라갈지를요.
제가 말씀드리는건 판매의 본질입니다.
음식이 아무리 맛있어도 먹어보기전까지는 모릅니다.
맛있는지 없는지 일단 고객에 입에 들어가야지 알 수 있는거죠.
이 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음식을 입에 넣기까지 도와주는것이 마케팅이자 기획입니다.
맛있는 음식을 고객들의 입에 못넣어주는것이 죄악일 수도 있다는 사명감으로 한번 가게를 운영해보세요.
요리만 맛있으면 다 해결 된다는 생각을 하고 계신다면 일류호텔의 주방장을 하시는게 좋지 않을까요?
저는 사장님의 매장음식이 맛있는지 없는지 모릅니다. 이 글의 전제는 맛있다 라는 전제를 두고 말씀드립니다.
글 한번 쓰는데 1~2시간 정도 걸립니다.
제가 글을 쓰는 이유는 단, 1가지입니다.
저도 힘든 시기가 있었고 지금도 성장중 입니다.
저보다 많이 앞서 나가신분들의 글을 읽고 저도 성장에 도움이 되었기 때문에
제 글로 힘드신 초보분들이 매출상승이 되시길 바라는 진실된마음으로 쓰고 있습니다.
많이 서툴더라도 제 진실된 마음이 왜곡은 안되면 좋겠습니다.
왜곡이 된다면 차라리 안쓰는게 낫기때문이죠.
양질의 글을 쓰려면 많은 응원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많이 드네요.
생각은 말이됩니다. 말은 행동을 부릅니다. 행동은 습관을 부르고요 습관은 인생을 결정합니다.
제 글을 읽어 주시는 분들은 좋은 생각만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왜냐하면 좋은생각이 매출을 결정하기 때문이죠.
사소한것이 나비효과가 되듯이 좋은생각을 하시길 바랍니다.
작은것이 손님을 대할때나 가게를 운영할때 알게 모르게 부매랑처럼 자신에게 돌아오게 돼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댓글만이라도 응원해주는 사람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위의 글은 초보창업자분들이나 본질을 까먹고 계신분들이 복습하기에 충분히 좋은 글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판매에 있어서 좋은상품만 준비가 되어 있다면 저 마케팅이 게임 끝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이 글이 좋아요 10개 이상된다면 꿀팁 대방출은 계속 될것입니다.
구독과 좋아요가 많을 수록 꿀팁의 질은 더 좋아지겠죠.
다음 글은 리뷰체험단 도매로 가지고 오는 방법 또는 배민 클릭을 부르는 방법 둘중 한개를 쓰겠습니다.
원하시는 글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이번 글도 꿀팁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계속해서 저는 매출에 관련된 글만 쓰겠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상 디렉터문이였습니다.
'초보창업자가 준비해야 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식업 창업 배달의비밀 5탄] 클릭과 주문을 유도하는 배달앱 세팅법 (0) | 2023.07.24 |
---|---|
[요식업 창업 배달의비밀 4탄] 배달앱 플랫폼별 광고 및 입점전략 (0) | 2023.07.24 |
요식업 창업! 음식점 관련 세금, 부가세와 종소세가 궁금해요 (0) | 2023.07.23 |
[요식업 창업 배달의비밀 3탄] 플랫폼 별 수수료체계 및 통계이해 (0) | 2023.07.23 |
[요식업 창업 배달의비밀 2탄] 맛과 매출의 상관관계 그리고 배달앱 운영방법 (0) | 2023.07.23 |